만공대종사 법훈론 > 영주, 영주사람

본문 바로가기

영주, 영주사람

영주, 영주사람 HOME


만공대종사 법훈론


기록물명 만공대종사 법훈론
기록물번호 109103 생산년도 1990
등급 기록형태 서적류
기증자 황분자 크기 146*210

*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게시물의 저작권은 영주문화원에 있으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오류신고

    ../data/box/106box/2141_109103.jpg
  • 만공대종사 법훈론

본문

『만공대종사 법훈론』은 근세의 선지식이었던 만공 선사(1872~1946)의 법문으로 그 내용이 길지는 않지만 선지(禪旨)로 불가(佛家)에서 특히 선가(禪家)에서는 널리 읽히고 있는 글이다. 목차는 1. 나를 찾아야 할 필요와 나 2. 나를 찾는 법 ㅡ 참선법 3. 현생 인생에 대하여 4. 불 법 5. 불 교 6. 승니(僧尼)란 무엇인가? 7. 대중 처소에서 할 행리법 8. 경 구 9. 최후설로 구성되어 있다.
만공의 속명은 송도암(宋道巖)이다. 만공(滿空)은 법호이며 실제 법명은 월면(月面)이다. 그래서 두 사형 수월(水月), 혜월(慧月)과 함께 "경허의 세 달"이라고 불린다. 전라도 태인군(현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에서 태어났으며 서산의 천장사에서 출가하였다. 선종(불교)의 큰스님인 경허(鏡虛)스님의 수제자로서 법맥을 이어받았고, 이후 전강으로 법맥이 이어진다.

등급 구분 : 해제 및 전시, 언론보도 등에 활용

  • 가-1 : 조선후기 ~1950년 한국 전쟁 이전, 영주지역 생산 기록물, 기관 생산
  • 가-2 : 조선후기 ~1950년 한국전쟁 이전, 개인 생산
  • 나-1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기관 생산
  • 나-2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개인 생산
  • 다-1 : 1970년 ~ 1989년, 기관 생산
  • 다-2 : 1970년 ~ 1989년, 개인 생산
  • 라-1 : 1990년 ~ 현재, 기관 생산
  • 라-2 : 1990년 ~ 현재, 개인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