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서절요 1,2권
| 기록물명 | 주자서절요 1,2권 | ||
|---|---|---|---|
| 기록물번호 | 113876 | 생산년도 | 연대미상 |
| 등급 | 가 | 기록형태 | 서적류 |
| 기증자 | 권기달 | 크기 | 210*320 |
*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게시물의 저작권은 영주문화원에 있으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본문
퇴계 이황이 1553년(명종 8)에 ≪주자전서(朱子全書)≫ 중 주자의 편지글 가운데서 뽑아 엮은 책이다.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또는 주자절요(朱子節要)라 한다. 초간은 1561년(명종 16) 황준량이 성주에서 간행하였으며, 이어서 류중영이 1567년(명종 22) 정주에서, 김성일이 1586년(선조 19) 나주에서, 정경세가 1611년(광해군 3) 금산에서 간행하였다. 20권 10책으로 목판본이다. 사주쌍변 반곽(四周雙邊 半郭)은 21.2×16cm 이며, 유계(有界) 10행 18자이다. 판심은 상하화문어미(上下花紋魚尾)이다. 이 책은 주희와 사우관계에 있던 인물들의 인품과 학문, 주희의 사상 및 이황의 제자들에 대한 교육사상이나 방법론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있다. 첫장에 이황의 주자서절요서(朱子書節要序)와 기대승이 1572년 9월에 지은 서와 부퇴계이선생답이중거서(退溪李先生答李仲久書- 퇴계선생이 이중구에게 답한 편지글), 황준량의 성주인회암서절요발(星州印晦庵書節要跋), 주자서절요총목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2는 시사출처(時事出處), 권 3 은 왕장문답(汪張問答), 권 4 는 여유문답(呂劉問答), 권 5 는 진육변답(陳陸辨答), 권 6 은 문답론사(問答論事), 권 7 은 문답경전(問答經傳), 권8∼18은 지구인문답(知舊人問答), 권19는 속집, 권20은 별집으로 되어 있다.
등급 구분 : 해제 및 전시, 언론보도 등에 활용
- 가-1 : 조선후기 ~1950년 한국 전쟁 이전, 영주지역 생산 기록물, 기관 생산
- 가-2 : 조선후기 ~1950년 한국전쟁 이전, 개인 생산
- 나-1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기관 생산
- 나-2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개인 생산
- 다-1 : 1970년 ~ 1989년, 기관 생산
- 다-2 : 1970년 ~ 1989년, 개인 생산
- 라-1 : 1990년 ~ 현재, 기관 생산
- 라-2 : 1990년 ~ 현재, 개인 생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