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幼學) 김제국(金濟國) 순흥문묘(文廟) 석채헌관(釋菜獻官) 망기(望記) > 생활

본문 바로가기

생활

생활 HOME


유학(幼學) 김제국(金濟國) 순흥문묘(文廟) 석채헌관(釋菜獻官) 망기(望記)


기록물명 유학(幼學) 김제국(金濟國) 순흥문묘(文廟) 석채헌관(釋菜獻官) 망기(望記)
기록물번호 133082 생산년도 1976
등급 다-2 기록형태 망기(望記)
기증자 김태환 크기 570*950

*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게시물의 저작권은 영주문화원에 있으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오류신고

  • 유학(幼學) 김제국(金濟國) 순흥문묘(文廟) 석채헌관(釋菜獻官)  망기(望記)

본문

이 망기(望記)1976(丙辰年) 정월(正月) 유학(幼學) 김제국(金濟國)을 순흥향교(順興鄕校) 석채헌관(釋菜獻官)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것이다. 김제국(金濟國, 1913~1992). 본관은 예안(선성). 일명 제윤(濟允)으로 자는 용집(用楫), 호는 방주(舫舟)로 아버지는 재진(在鎭)이다. 1965년 백운지 단소(白雲池壇所)를 정비 했다. 수차례 문절공 김담신도비 및 후동재사(後洞齋舍)중수에 참여했다. 약간의 시문(詩文)이 남아 있다. 망기(望記)는 어떤 직책에 합당한 사람을 추천할 때 사용한 문서이다. 서원(書院) 원장(院長), 제관(祭官) 등을 초빙 또는 임명하기 위해 발급하였다. 망첩(望帖), 망통(望筒), 망단자(望單子)라고도 한다.

등급 구분 : 해제 및 전시, 언론보도 등에 활용

  • 가-1 : 조선후기 ~1950년 한국 전쟁 이전, 영주지역 생산 기록물, 기관 생산
  • 가-2 : 조선후기 ~1950년 한국전쟁 이전, 개인 생산
  • 나-1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기관 생산
  • 나-2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개인 생산
  • 다-1 : 1970년 ~ 1989년, 기관 생산
  • 다-2 : 1970년 ~ 1989년, 개인 생산
  • 라-1 : 1990년 ~ 현재, 기관 생산
  • 라-2 : 1990년 ~ 현재, 개인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