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읍 휴천2리 탁아소 운영대장
| 기록물명 | 영주읍 휴천2리 탁아소 운영대장 | ||
|---|---|---|---|
| 기록물번호 | 132334 | 생산년도 | 1966 |
| 등급 | 나-2 | 기록형태 | 지류 |
| 기증자 | 최세현 | 크기 | 192*270 |
*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게시물의 저작권은 영주문화원에 있으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본문
이 「영주읍 휴천2리 탁아소 운영대장」은 1966년~1970년까지 농번기 탁아소 운영과 관련된 기록물이다. 내용은 60년대 출석부, 지도일지, 급식 대장, 어린이 개별 카드와 70년대 출석 상황 카드, 지도일지, 어린이 급식 대장, 어린이 개인별 카드, 비품대장 등이 잘 정리되어 있다.
1960년경부터 농촌 어린이의 보육을 위해 농번기 탁아소가 자생적으로 출현하였는데 4-H 여성 지도자나 4-H클럽 여성 부원들이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자발적으로 만든 것이다. 농번기 탁아소는 1980년에 농번기 유아원으로 개칭되었는데, 1981년부터 정부는 내무부의 주관 아래 도시 영세민 자녀들이나 각 시·군·읍·면 지역에서 유아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4~6세 유아를 보호·교육하려는 목적으로 새마을 협동 유아원을 설립·운영하게 되었다. 1991년 영유아 보육법이 통과되면서 보건 사회부가 관장하는 보육 시설의 수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새마을 유아원을 1993년 말까지 교육 기능을 담당하는 유치원이나 탁아 기능을 담당할 어린이집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조치가 내려졌다. 새마을 유아원의 일부는 국공립 어린이집으로, 일부는 유치원으로 전환되어 운영되었다.
등급 구분 : 해제 및 전시, 언론보도 등에 활용
- 가-1 : 조선후기 ~1950년 한국 전쟁 이전, 영주지역 생산 기록물, 기관 생산
- 가-2 : 조선후기 ~1950년 한국전쟁 이전, 개인 생산
- 나-1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기관 생산
- 나-2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개인 생산
- 다-1 : 1970년 ~ 1989년, 기관 생산
- 다-2 : 1970년 ~ 1989년, 개인 생산
- 라-1 : 1990년 ~ 현재, 기관 생산
- 라-2 : 1990년 ~ 현재, 개인 생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