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악보(時調樂譜) > 교육과 복지

본문 바로가기

교육과 복지

교육과 복지 HOME


시조악보(時調樂譜)


기록물명 시조악보(時調樂譜)
기록물번호 120335 생산년도 1960~70년대
등급 나-1 기록형태 지류
기증자 김영하 크기 390*270

*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게시물의 저작권은 영주문화원에 있으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오류신고

  • 시조악보(時調樂譜)
  • 시조악보(時調樂譜)

본문

이 시조악보(時調樂譜)는 영주여자중고등학교에서 발간한 악보로 총 7편의 악보를 싣고 있다. 영주관광(榮州觀光)[사설시조(辭說時調)], 청산(靑山)은 어찌하여[평시조(平時調)], 새마을 예찬[평시조(平時調)], 어화청춘 소년들아[사설시조(辭說時調)], 달밝고[여창질음(女唱叱音)], 푸른 산중 백발옹(白髮翁)[남창질음(男唱叱音)], 기러기떼[온질음(叱音)] 등이 실려있다. 특히 영주관광(榮州觀光) 사설시조(辭說時調)3장으로 이루어진 시조로 귀중한 자료로 평가 된다. 이 악보는 1960~1970년경(영주여자중고등학교 1959년 설립~1982년 분리)에 생산된 기록물로 보인다

등급 구분 : 해제 및 전시, 언론보도 등에 활용

  • 가-1 : 조선후기 ~1950년 한국 전쟁 이전, 영주지역 생산 기록물, 기관 생산
  • 가-2 : 조선후기 ~1950년 한국전쟁 이전, 개인 생산
  • 나-1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기관 생산
  • 나-2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개인 생산
  • 다-1 : 1970년 ~ 1989년, 기관 생산
  • 다-2 : 1970년 ~ 1989년, 개인 생산
  • 라-1 : 1990년 ~ 현재, 기관 생산
  • 라-2 : 1990년 ~ 현재, 개인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