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도각(蓬島閣)중건공사 수지내역
| 기록물명 | 봉도각(蓬島閣)중건공사 수지내역 | ||
|---|---|---|---|
| 기록물번호 | 105270 | 생산년도 | 1961 |
| 등급 | 나-1 | 기록형태 | 지류 |
| 기증자 | 차재규 | 크기 | 756*230 |
*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게시물의 저작권은 영주문화원에 있으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본문
1961년 봉도각을 중건할 때 사용된 공사비의 수지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수입 내역은 찬조금 717,000환, 지출 내역은 737,100환으로 기록되어 있다.
봉도각은 순흥도호부 청사였던 조양각의 뒤뜰이라 전해진다. 봉도각은 조선시대 영조 대인 1754년 부사 조덕상이 여기에 승운루라는 누각을 짓고 그 서편 논을 파서 네모진 연못을 만들어 그 가운데 섬을 쌓고 정자를 세워 지은 것으로 순흥지에 기록되어 있다. 봉도란 신선이 산다는 봉래를 뜻한다.
봉도각은 조선시대 약국 기능을 하며 ‘경로국(敬老局)’으로 불리다 이후 향촌제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영주지역 유지들이 모여 각종 대소사, 가문의 다툼, 이웃의 분쟁 등을 해결하는 곳으로 이용되어 온 400여 년 전통의 전국 유일의 경로소이다.
봉도각은 영주시 순흥면 순흥로 77, 곧 순흥 읍내리 문화마을에 위치하며, 영주의 숨은 명소로 알려져 있다. 봉도각은 수백 년 된 버드나무와 소나무가 전통 정원과 어우러져 멋진 풍광을 그려내고 있다. 봉도각에는 연비어약(鳶飛魚躍)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그것은 솔개가 날고 물고기가 뛴다는 뜻으로, 온갖 동물이 생의 즐김을 이른다.
등급 구분 : 해제 및 전시, 언론보도 등에 활용
- 가-1 : 조선후기 ~1950년 한국 전쟁 이전, 영주지역 생산 기록물, 기관 생산
- 가-2 : 조선후기 ~1950년 한국전쟁 이전, 개인 생산
- 나-1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기관 생산
- 나-2 : 1950년 한국전쟁 ~ 1969년, 개인 생산
- 다-1 : 1970년 ~ 1989년, 기관 생산
- 다-2 : 1970년 ~ 1989년, 개인 생산
- 라-1 : 1990년 ~ 현재, 기관 생산
- 라-2 : 1990년 ~ 현재, 개인 생산
